반응형 ADHD 공부하기83 ADHD아이가 가질 수 있는 충동성 문제의 종류 A의 충동성 문제가 잘 잡히질 않는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바로 하기 못 했을 때의 상황을 자주 참지 못하고 가게나 상점 등에 갔을 때도 아이쇼핑이 되지 않고 무조건 자신에게 필요없는 것이라 할지라도 무조건 사고 싶어한다. 그리고 그런 걸 하지 못하게 했을 때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갑자기 소리를 지르거나 분노하는 일들이 계속 생겨난다. ADHD아이들의 충동성문제는 다양하고 복잡하다. 적어도 어떤 상황에서 충동성 문제를 겪게 되는지 미리 파악을 한다면 그런 문제가 생길만한 상황을 최대한 줄이거나 피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서 충동성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다양한 상황들에 대해 공부해보기로 했다. ADHD아이의 충동성이 만드는 문제들 1. 행동 결과를 생각하거나 고려하지 않고 행동합니다. 부.. 2023. 6. 15. 과도한 미디어 노출이 ADHD아이에게 미치는 영향(패드/TV/유튜브) A는 어릴때부터 미디어를 꽤 많이 통제한 편에 속한다. 아이가 노는 시간에는 TV를 틀어놓지 않고 정해진 시간(하루 30~1시간) 정도만 원하는 애니메이션 등을 틀어줬고 식당에서 주문한 음식을 기다리거나 병원 등에서 순서를 기다릴때에도 보통은 작은 노트와 색연필 등을 준비해서 그림을 그리게 하거나 책을 읽거나 하면서 미디어노출을 최소화 했기 때문이다. 8세가 되면서 스스로 아이패드로 유튜브 검색 등을 하고 싶다고 할 때도 구글 패밀리링크를 통해 TV시청시간을 1시간으로 정해서 큰 문제없이 미디어 조절을 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유튜브로 종이접기 영상들을 보면서 종이접기를 따라하다보면 시간이 훌쩍 지나가버리는지 시간이 부족하다며 20분씩 더 달라고 보챌때가 많다. 최대 30분 이상은 안 늘려주고 노력하고 주.. 2023. 6. 12. ADHD 비약물적 치료방법 뉴로피드백이란 무엇인가?(가격/효과) ADHD 치료카페에서 보면 가끔 뉴로피드백이라는 단어가 보일때가 있다. 효과가 좋다는 후기들이 꽤 있어서 어떤 치료인지 궁금해서 공부해보기로 한다. 뉴로피드백이란 무엇인가? EEG 바이오피드백으로도 알려진 뉴로피드백은 뇌파 패턴에 대한 실시간 피드백을 제공하여 뇌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 기술입니다. 뇌파도(EEG)를 사용하여 뇌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고 이 정보를 개인이 학습하고 뇌 활동을 스스로 조절할 수 있는 방식으로 개인에게 제공하는 것과 관련됩니다. 뇌의 전기 신호를 측정하기 위해 두피에 전극을 배치하는 것으로 시작됩니다. 이러한 신호는 EEG 기계에 의해 증폭되고 처리되어 시각, 청각 또는 촉각 피드백으로 변환됩니다. 그런 다음 피드백은 개인에게 실시간으로 제공되어 뇌파 패턴을.. 2023. 6. 6. 메디키넷의 부작용 및 반동작용 줄여보기 아침 8시에 메디키넷을 챙겨먹는 A는 오후 2시가 되면 거의 약효가 떨어져간다. 2시에서 3시 사이에는 짜증이 많이 늘고 4시부터는 효과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보통 학교 끝나고 집에 와서 바로 공부하기 싫어하기 때문에 40~50분 정도 놀고 공부를 하게 되는데 그 시간이 딱 약효가 풀리면서 반동작용이 있는 시간이라 늘 공부하자고 하면 싫다고 짜증을 내거나 분노를 표출하는 상황이 반복된다. 반동작용을 줄여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차에 빈속에 약을 먹이면 효과가 빨리 떨어지고 약효 떨어질 때 간식을 제공하면 반동작용이 좀 줄어든다는 글을 읽고 사실에 기반한 조언인지 궁금하며 공부를 해보기로 했다. 메디키넷을 식후에 복용해야 하는 이유 메디키넷의 성분인 메틸페니데이트의 경우 잠재적인 위장자극이나.. 2023. 5. 31.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