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서타가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는 뉴스가 자꾸 나온다. 나와 A가 복용중인 콘서타18도 부족해져서 일부 대학병원을 제외하곤 처방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고 한다. 다행히도 큰 병원에 다니는 중이라 아직 약이 없어서 처방을 못받진 않지만 콘서타가 없다면 다시 메디키넷이나 페니드를 두번 복용시켜야하나 걱정이 된다.
이런 품귀현상의 원인을 보통 뉴스에서는 부모들의 극성스런 자식공부욕심때문이라고 말한다. ADHD약이 공부 잘하는 약으로 둔갑되면서 멀쩡한 아이에게도 처방을 해주는 경우가 많다고 말이다.
일부 부모들이 그럴수도 있겠지만 ADHD약 처방은 정신의학과에 방문해서 진단을 제대로 받아야 받을 수 있는 것이라는 경험이 있기 때문에 뉴스 이야기를 쉽게 믿긴 어렵다. 하지만 ADHD약이 공부를 잘하게 만드는 약이라는 말은 동의한다. 우리 아이만 해도 ADHD약의 약효가 떨어지는 시간대엔 평소 공부량의 10분의 1도 버거워하고 공부 시작 자체가 어렵기 때문이다.
하지만 ADHD가 없는 평범한 사람이 ADHD약을 먹었을 때도 공부를 잘하게 만들 수 있을까? 부작용은 없을까? ADHD약이 공부잘하는 약이라는 소문을 듣고 이 글을 클릭한 당신에게 진실을 말해줘야 하겠다.
1. ADHD가 있는 사람이 ADHD약을 먹을 때 공부를 잘하게 되는 이유
분명 지능이나 다른 부분의 문제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면 ADHD약은 ADHD가 있는 사람이 평소보다 훨씬 공부를 더 잘 집중하게 만들어 더 나은 결과를 만든다. 그 이유를 살펴보면
1.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조절을 통한 집중력 향상
ADHD가 있는 사람이 주의력을 쉽게 잃어버리는 이유는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신경전달물질이 일반인에 비해 불균형하기 때문이다. ADHD 약물은 이런 신경전달물질들의 활동을 증가시켜 주의력을 지속하고 불필요한 자극을 차단하는 능력을 높여준다.
2. 작업기업 개선을 통한 정보처리 능력 향상
ADHD가 있는 사람은 작업기업이 낮은 경우가 많다. 작업 기억이란 단기적으로 정보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능력인데 ADHD가 있으면 낮은 주의력으로 인해 방금 전에 읽었던 문제의 내용을 잊거나 여러단계를 거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에서 몇몇의 단계를 잊거나 건너뛰는 일이 종종 생겨난다. ADHD약을 복용하면 작업기억이 개선되어 필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고 기억하면서 정리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공부를 하는데 도움이 된다.
3. 충동 조절을 통한 학습 계획 수립 능력 향상
ADHD가 있는 사람은 즉각적인 보상을 추구하는 성향이 높고 하기 싫다는 감정을 조절하기 늘 어려워한다. ADHD약물은 이런 부분을 조절하는 전두엽의 활동을 강화하여 충동을 억제하고 해야할 일을 미루지 않도록 돕는다. 덕분에 공부계획을 세우고 숙제등을 미루지 않게 된다.
4. 정신적 피로 감소를 통한 지속적인 학습능력 향상
ADHD가 있는 경우 낮은 주의력과 집중력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하고 이 때문에 많은 에너지를 소진하게 된다. 그래서 짧은 시간 공부를 했더라도 다른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이 지치고 힘들게 느끼는 일이 많다. 하지만 ADHD약물을 복용 후 공부하게 되면 평소보다 에너지를 덜 쓰면서 공부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길게 공부하는 것이 수훨해진다.
이렇듯 기본적으로 ADHD가 있으면 본인의 능력보다도 더 공부에 집중하거나 높은 성과를 만드는데 핸디캡을 가지게 된다. ADHD약은 이런 부분을 보완해서 ADHD가 본인의 공부의지를 방해하거나 공부에 대한 집중을 잃게 만드는 걸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2. ADHD가 없는 사람도 ADHD약을 먹으면 공부를 잘 하게 될까?
ADHD가 없더라도 ADHD약 자체는 집중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할 순 있다. 하지만 이런 약의 효과는 ADHD가 있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제한적인 시간 동안 적용되며 이를 통해 공부를 더 잘하게 된다고 보기에는 다양한 부작용과 문제점을 만들어낼 수 있다.
1. 정상적인 뇌와 ADHD가 있는 뇌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문제
ADHD가 있는 경우라면 신경전단물질의 불균형으로 인해 집중력이 약하고 충동성이 높을 수 있다. ADHD약물은 이런 부분을 조절해주기 때문에 ADHD가 있는 사람에겐 효과적이지만 아무 문제가 없는 사람이라면 오히려 과도한 각성으로 인한 불안이나 초조, 집중력 약화 등의 문제가 생겨날 수 있다.
2. 과도한 각성 문제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ADHD약물은 과도한 각성문제를 만들 수 있다. 일부 ADHD가 있는 사람들이 본인의 몸무게보다 과한 용량, 또는 초기 복용시 불안, 초조, 가만히 있기 어려움, 벌레에 대한 두려움 등이 과도하게 생겨나는 경우들이 있는데 이런 각성들이 ADHD가 없는 사람에게는 오히려 공부를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ADHD가 있다면 신경전달물질 간의 불균형이 조화를 되찾으면서 부작용이 줄어들거나 사라지지만 아닌 경우라면 이런 부작용은 멈추지 않고 더 커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3. 집중력과 학습능력은 같은 뜻이 아니다.
집중력이 높아진다고 단순히 학습능력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공부는 기억력, 이해력, 논리적 사고력, 문제 해결력 등 복합적인 능력들이 조화롭게 상호작용하며 더 좋은 성과를 이룰 수 있는 것이므로 단순히 더 오래 집중할 수 있다고 해서 학업성취도가 높아진다고 보기는 어렵다.
4. 부작용과 의존성 문제
ADHD약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준다. ADHD가 있다면 오히려 각성을 조절하고 충동성을 완화하기 때문에 중독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는 도움을 주지만, ADHD가 없는 사람이 장기적으로 ADHD약을 복용한다면 약물중독 등의 위험한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진다.
3. ADHD약이 공부잘하는 약으로 둔갑되는 이유
개인적으로 ADHD약이 공부잘하는 약으로 불리는 이유는 2가지라고 본다.
첫번째는 실제로 ADHD가 있는 아이들 중 학습 능력이 꽤 우수한 편에 있었으나 ADHD로 인해 그 능력을 발휘하지 못했던 아이들이 진단 이후 약물복용을 통해 원래의 학습능력을 다 발휘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에 공부를 잘 하는 아이로 바뀐것처럼 보이는 것이고,
두번째는 진단을 받지 않았지만 ADHD가 있었던 아이들이 불법적인 루트, 또는 부모의 대리처방 등을 통해 우연히 복용한 ADHD약으로 인해 ADHD가 치료되는 효과를 보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원래부터 ADHD가 있어서가 아니라면 ADHD약만으로 갑자기 공부를 잘하게 되는 마법같은 일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
부모들 사이에서도 ADHD가 있더라도 좋은 학교에 진학하거나 좋은 직업을 얻는 경우는 대부분 그만큼 지능이 높았고 그 지능을 통해 본인의 ADHD적인 단점을 보완해나갈 수 있던 운 좋은 케이스거나 일찍부터 ADHD를 발견해서 치료를 해왔던 경우라고 보는 사람이 많다. 공부는 아무래도 지능이 어느정도 따라줘야 성과가 있는 법이니까.
그저 아이의 공부 하나를 위해서 위험한 약을 구하러 다니지 말자. 오히려 아이가 나름 똑똑한 것 같은데 공부에 집중하지 못하는 것 같다면 아이와 함께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해서 제대로 진단을 받고 문제가 있다면 치료를 받자.
좋은 대학에 보내겠다고 아이의 평생을 약물중독의 구렁텅이에 쳐박아 넣는 바보같은 짓은 하지 말아야 하지 않을까?
고지능 ADHD와 고기능 ADHD는 무엇이 다른걸까?
ADHD카페 등에 보면 우리아이는 고지능ADHD라 뒤늦게 ADHD를 발견한 케이스라는 글을 종종 보게 된다. 보통 IQ 120 이상인 경우나 의사의 멘트가 있던 경우에 고지능ADHD라는 단어를 사용하는데 가끔
kelly1817.com
ADHD아이에게 독서가 중요한 이유(전전두엽)
얼마전 EBS 당신의 문해력이라는 프로그램에서 책을 많이 읽은 사람들의 전전두엽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더 많이 활성화 되었다는 내용을 보게 되었다. ADHD라는 질환은 또래보다 전전두
kelly1817.com
ADHD아이들에게 난독이 함께 나타나는 이유(난독증/ADHD/시각주의력/청각주의력/약물치료/치료시)
A는 7살때부터 한글을 쉽게 익히지 못하고 한참 시간이 걸렸다. ADHD를 의심했던 것도 역시 한글해득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약물치료와 놀이치료 그리고 한글해독문제를 겪는 아이들을 위해
kelly1817.com
'ADHD와 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학년 학기초 ADHD아이들의 감정이 더 널뛰기하는 이유 (0) | 2025.03.11 |
---|---|
ADHD, 초등 입학을 앞 둔 양육자에게 하고 싶은 몇 가지 조언들. (1) | 2025.01.08 |
ADHD가 있는 부모가 ADHD아이를 키울 때 (5) | 2024.10.23 |
ADHD+난독 아이에게 오디오북 괜찮을까? (3) | 2024.10.08 |
ADHD아이를 위한 미디어 제한 방법, 1일 1시간 VS 주말에만 3시간 (4) | 2024.09.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