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DHD 공부하기83 ADHD아이의 시간관리 도와주기(시간관리 어려운 이유/시간관념/시간맹/일정관리/스스로하기) A의 아침은 늘 정신이 없다. 약을 먹이기 전 시간이기도 하지만 시간관리가 잘 되지 않는다. 아침 7시 40분이면 밥을 먹기 시작하고 같이 학교에 가는 친구가 찾아오는 오전 8시 25분까지 세수, 양치, 옷입기, 가방 챙기기 등을 다 해야하지만 늘 17분까지는 괜찮아! 15분이면 안 늦은거잖아? 하면서 이런 저런 놀거리를 찾아다니느라 정신이 없다가 결국 친구가 도착한 시간에는 겨우 옷을 입느라 분주하다. 그나마 요새는 밥 먹자마자 세수, 양치, 옷입기를 다 끝내고 놀기로 루틴을 변경해서 그나마 좀 진정이 되었지만 ADHD아이들은 A와 비슷하게 시간관리가 제일 어렵다고 한다. 아직은 1학년이지만 곧 2학년이 될 것이고 점점 스스로 시간관리를 해야할 것들이 많아질텐데 언제까지 일일히 챙겨주어야하나 마음이 답.. 2023. 12. 6. ADHD아이 주 양육자의 스트레스 줄이는 방법 7가지(과잉행동/충동성/엄마표학습/분노 사전 차단 꿀팁까지) ADHD를 키워본 부모만 아는 감정이 있다. 내가 정말 나쁜 부모라는 생각이다. 아이가 하는 행동들이 ADHD인 것을 뻔히 알고 그래서 이해해줘야하는 것 역시 알고 있지만 도저히 참을 수 없을 수 없게 되는 포인트가 있고 그때 폭발해버리고 나서 오는 후폭풍 같은 것 말이다. 대부분의 소아정신과의사들은 말한다. ADHD의 증상은 아이가 나빠서, 일부러 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너그럽게 이해해줘야하며 혼내거나 화를 내지 말라고. 그렇게 되면 아이에게 쌓이는 부정적인 피드백이 아이의 상태를 더 나쁘게 만들어 악순환이 이루어진다고 늘 강조한다. 금쪽같은 내새끼나 유명한 소아과 의사들의 유튜브를 보면 항상 나오는 말이라 볼 때마다 반성모드를 장착하곤 하지만 가끔은 정말 한 번 붙들고 물어보고 싶다. ADHD를 혹.. 2023. 11. 27. ADHD 과잉행동의 종류 10가지(충동성/착석문제/높은에너지/초등저학년) ADHD의 과잉행동은 보통 초등학교 1학년부터 2학년까지 가장 심각해지다가 3학년쯤 되면 조금씩 줄어들어서 고학년이 되면 보통은 좋아진다고 한다. 이제 초등학교 1학년 말에 접어든 A는 정말 과잉행동이 많이 늘어났다. 낮에는 약을 먹고 있기 때문에 거의 보이지 않지만 오전과 약효가 사라진 늦은 오후부터는 정말 말도 안되는 과잉행동들이 부쩍 늘어나서 나의 심기를 건드리는 중이다. 집에서의 과잉행동은 보통 동생을 위험하게 하는 일들이 많고 층간소음을 유발할 수 있는 행동들이라 계속 아이를 자제시켜야만 해서 잔소리가 되기 일쑤고 외출했을 때의 과잉행동은 다른 사람들의 동선을 방해하거나 주위의 시선을 끄는 행동들이라 남에게 피해주는 것을 굉장히 싫어하는 내 입장에서는 스트레스가 된다. 에너지를 다른 곳으로 풀어.. 2023. 11. 21. ADHD 약물치료 시작 시기에 따른 장점과 단점(만 7세/초등저학년/10세이후/초등고학년/사춘기시비교) ADHD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치료 시기도 꽤 빨라지고 있다고 한다. 나같은 경우는 아이가 만 6세가 된 시점부터 약물복용을 시작했고 놀이치료와 사회성치료를 병행하고 있다. 나같이 초등입학 전에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지만 일부러 초등 저학년 시기에는 약물치료를 보류하다가 3~4학년쯤 부터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고 아예 약물에 대한 거부감 등으로 인해 미루고 미루다가 사춘기시기에 들어가 결국 울며겨자먹기로 약물치료를 시작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단다. 그렇다면 약물치료시기에 따른 효과는 얼마나 다를지 궁금해져서 알아보기로 했다. 1. ADHD약물치료 시기에 따른 장점과 단점-만 6세부터 초등 저학년 장점 조기개입 : 초등입학 이전 또는 초등 저학년 약물치료를 시작했을 경우에는 조기개입을 통해.. 2023. 11. 3. 이전 1 ··· 4 5 6 7 8 9 10 ··· 2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