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dhd친구4 뒤끝이 짧아도 너무 짧은 아이, ADHD라서 그런걸까? 얼마전 A가 등교하기 전에 남편에게 조심스레 말을 꺼냈다고 한다. 지금 짝인 친구가 싫어하는 행동을 반복하고 본인에게 함부로 말을 해서 좀 힘들다는 이야기였다. 구체적으로 물어보니 착용하고 있던 마스크의 끈을 가위로 자른다거나 가방에 쓰레기를 넣는다거나 보드게임 등을 하는 동안 A는 잘 못한다며 빠지라고 하기도 하고 평소에서 험한 말을 좀 하는 모양이다. 원래도 주변 친구들에게 폭력을 쓰거나 다른 친구의 물건을 망가뜨려서 문제가 됐던 일이 있던 아이라서 A와 잘 어울려놀지 않았으면 했던 아이인데 이런식으로 엮이다보니 걱정이 크게 되었다. 담임선생님께 남편이 상담을 했고 앞으로는 짝이 되지 않도록 신경써주시겠다는 답변을 받았다. 문제의 아이가 A에게 사과하면서 일이 일단락되는 것처럼 보였는데 점심시간에 함.. 2025. 7. 2. 친구들에게 ADHD인 걸 밝히는 것이 좋을까? 10살 A는 ADHD약의 도움을 크게 받고 있다. 콘서타와 페니드를 오전부터 복용한 덕에 학교에서는 전혀 문제가 없고 수업도 학교의 다양한 규칙들도 잘 지켜나가고 있다. 하지만 ADHD약들이 그렇듯이 마법같은 약물효과가 사라지는 시점부턴 ADHD증상들이 조금씩 고개를 들기 시작하고 모범적이던 A의 모습은 사라진다. 방과후 친구들과 놀거나 저녁 시간에 태권도에 갔을 때 약물의 도움없이도 큰 트러블을 일으키진 않지만 친구들의 눈에는 조금 이상해보이는 지점들이 있는 가보다. 함께 보드게임을 하거나 태권도에서 숫자 등을 세면서 동작을 할 때 숫자를 건너뛰거나 계산을 제대로 못하는 경우들이 나타나고 낮은 주의력으로 친구들 이름을 잊거나 하는 일들이 생겨난다. 그래서 친구들이 종종 "넌 학교에선 진짜 잘하는데 왜 .. 2025. 5. 14. 좋은 친구과 나쁜 친구를 구별하는 방법 새로 이사 온 동네는 그전 동네와는 분위기가 좀 다르다. 아무래도 신축의 어수선함도 있고 아직 서로 성향이 파악 안된 아이들이 만드는 작은 문제들도 보인다. 그래도 나름 잘 적응해나가는 것 같아 안쓰럽기도 하고 기특하기도 하다. 얼마전 학교에서 발표회를 했다. 본인들의 장기를 모아 자랑하는 형식이었는데 A는 같은 반이면서 같은 동에 사는 아이들과 함께 태권도를 준비해서 멋지게 발표를 하고 왔다. 다들 진도는 다르고 한꺼번에 모일 시간은 내기 어려워서 도대체 어떻게 준비를 하려나 했건만 한번 모여서 연습을 하고 자신이 모든 동작을 다 외워올테니 집에서 연습하고 와서 정 모르겠으면 자신을 보고 따라하라고 했다는 A의 말에 감탄했다. 나름 리더쉽이 있는 느낌이랄까? 새로 사귄 친구들 중에는 차분하고 예의 바른.. 2023. 12. 1. ADHD아이의 친구 사귀기, 놀이 치료와 사회성 그룹 치료가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 A가 이사하고 새 학교에 적응한지 이제 1달 반이 넘어간다. 의외로 잘 적응해주는 A에게 고마운 마음뿐이다. 1학년 1학기 때에 비해 교실안의 학생 수가 절반수준으로 떨어진 이유도 있고 담임선생님의 성향이 조금 더 부드러우신 편이라 A의 학교 적응에 큰 도움을 받고 있다. 놀이치료는 1년 넘게 받고 있고 사회성 그룹치료는 짝치료의 형태와 그룹치료의 형태로 이래저래 변해오다 이제 인원이 3명이 되어 꾸준히 수업을 진행중이다. 친구 사귀기에 두 치료의 효과가 얼마나 될까 사실 실감을 크게 하지는 못했었는데 이사를 오고난 후 집으로 A의 친구들을 초대해서 놀게 되는 경우가 꽤 되다보니 그동안 꾸준히 해왔던 이 치료들이 A가 친구들과 맞닿뜨리게 되는 다양한 상황들에서 꽤 도움이 되는 것을 느끼고 있다. 그래서 .. 2023. 9. 25. 이전 1 다음 반응형